프런트엔드 개발자

🏠 서울

📮 [email protected]

🔗 깃헙: https://github.com/jung-han 🔗 블로그: https://junghan92.medium.com/ 🔗 링크드인: https://www.linkedin.com/in/jung-han-819501125/ 🔗 커리어리: https://careerly.co.kr/@jung.han

요약

2025년, 8년차가 되는 프런트엔드 개발자입니다.

경력

2021.07 -

Front-End Developer @LINE+, UIT

LandPress Genai

LLM을 활용한 AI 앱 개발 플랫폼을 구축하는 서비스입니다. 프롬프트를 버저닝, 테스트 할 수 있으며 API를 통해 AI 앱을 쉽게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Nest.js와 LangChain.js로 백엔드를, React로 프론트엔드를 개발하고 사내 인프라를 활용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발 아이템 선정 및 R&D, 기획, 디자인, 개발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AI를 통한 개발자와 서비스의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프린트를 운영하고 상품이 올바르게 완성 될 수 있도록 전반적인 개발에 관련된 매니징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AI 업계에 맞춰 여러 핵심 기능을 R&D하고 공유하며 주도적으로 완성도 있는 프로덕트를 만들고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Subproject> LandPress Genai CLI Tool

커밋 로그 생성, 변수 생성, 챗을 통해 코드의 수정 방법을 제안을 받는 등 개발을 하는데 있어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여러 기능을 지원하는 CLI 도구입니다. LLM을 사용해 구현했습니다.

<Subproject> LandPress Code Aimigo

AI를 활용한 코드리뷰 봇 서비스입니다. LLM(아래 언급한 LandPress Genai API를 사용)과 Probot을 사용해 구현 되었으며 약 20개 이상의 언어 코드리뷰를 진행합니다. 사내 약 2,000개 이상의 저장소에서 사용중이며 좋은 퀄리티의 코드 리뷰를 제공한다는 점을 인정받아 중요 서비스로 분류되어 전사 도입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추가중입니다.

<Subproject> LandPress Figma To Code(F2C)

Figma의 디자인 파일을 HTML, CSS로 변환하는 플러그인 서비스입니다.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Figma 디자인 파일을 코드로 변환한 뒤 YOLO를 통해 요소를 탐지해 대체하는 방식으로 구현으며, LLM을 통해 코드의 접근성과 퀄리티를 높이는 방향으로 구현했습니다. 이 도구를 통해 초기 마크업 개발 시간을 단축했으며, Figma 디자인 파일에 대해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Line x Yahoo Premium(https://premium.yahoo.co.jp/)

Line과 Yahoo의 결합 멤버쉽 서비스입니다. 웹 뷰 기반으로 개발이 되었으며 이벤트 페이지와 멤버쉽을 관리할 수 있는 페이지를 개발했습니다.

TypeScript, React, Tanstack Query를 사용해 개발하고 있으며 react-testing-library를 사용해 단위·통합 테스트를, playwright를 사용해 E2E 테스트를 작성했습니다.

LLM 기반 사내 리뷰 생성 서비스

GPT-4를 활용한 사내 리뷰 생성기를 개발했습니다. 회사의 평가 기준과 어떤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하는지, 모범 사례를 입력한 뒤 평가를 입력해 리뷰 작성을 도와줍니다.

TypeScript, React, GPT-4, LangChain을 사용해 개발했으며 LLM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프로젝트였습니다. 당시 약 1,000건 이상의 리뷰를 생성 했으며 추후 인사팀과의 리뷰 단계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프로젝트였습니다.

Official Account Profile 및 CMS(https://manager.line.biz)

Official Account는 라인의 비즈니스 계정입니다. 비즈니스 계정 화면과 그를 관리하는 CMS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TypeScript, React, Next.js를 통해 개발하고 있으며 react-testing-library, cypress를 통해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사내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FE뿐만 아니라 서버 인프라를 운영하는 경험을 함께 했습니다.

Maintain UVP(Universal Video Player)

UVP는 사내 서비스에서 널리 사용되는 비디어 플레이어 프로젝트입니다. v1의 유지보수를 담당했으며 v2의 메이저 업데이트를 주도적으로 진행했습니다.

jsx-dom으로 개발된 플레이어를 preact로 마이그레이션했으며 jest, cypress, storybook을 도입해 테스트코드를 작성해 안정적인 프로젝트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로 인해, 프로젝트의 생산성과 확장성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2018 - 2021.06

Front-End Developer @ NHN, FE Dev lab Staff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이 많고 자동화에 관심이 많습니다. 다른 오픈 소스를 학습하는 것을 좋아하고 그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들을 변화시켜 TOAST UI에 적용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을 정리하고 공유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Maintain TOAST UI Chart Open Source

차트 v3의 유지보수를 담당했습니다. 사내 사외 이슈를 대응했고 주로 버그 수정을 담당했습니다.

svg로 된 차트를 canvas로 마이그레이션하는 v4 업데이트에 참여했으며 성공적으로 메인테이닝 했습니다. jest를 사용해 단위 테스트를 작성하고 있으며 Storybook을 이용해 UI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anvas를 통한 UI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며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발전 시켜나가는 주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이였습니다.

제가 작성한 커밋, 코드는 이 링크와 이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intain TOAST UI Grid Open Source

Backbone.js로 작성되어 있던 코드를 Preact.js를 사용해 마이그레이션하는 작업에 참여했습니다. 클립보드, 테마, 셀렉션, 포커스, 셀렉션, 필터 등 기능 개발을 담당했습니다. Storybook을 사용해 UI를 개발했으며 Cypressjest를 사용해 E2E 테스트를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각적인 테스트와 기능적인 테스트에 대해 분리하며 UI 테스트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마이그레이션이 완료된 이후에는 사내 문의와 사외 이슈를 대응하며 운영했습니다. lerna를 활용해 TOAST UI에 모노레포 형태를 도입했습니다. 이에 관한 글을 작성해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제가 작성한 커밋, 코드는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intain TOAST UI Component Open Source

TOAST UI DatePicker, TimePicker, App-loader등 JavaScript 오픈 소스를 운영했습니다. JavaScript로 개발을 진행했고 karmajasmine을 통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전반적인 오픈 소스의 철학과 정책, 운영방식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TOAST FILE (https://file.toast.com/)

React를 사용해 개발했고 Redux를 사용해 상태 관리를 했습니다. Storybook을 사용해 UI를 개발했으며 Cypressjest를 사용해 E2E 테스트를 했습니다. 모바일 결제, Lab 페이지, 다국어 처리 등 전반적인 프런트엔드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PostCSS를 주도적으로 도입했고 관련해서 글을 작성해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기술 공유

교육

공유 활동